[말을 타고, 건너가소 21] 대서(大暑) > SLD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SLDI

SLD갤러리
Home > 커뮤니티 > SLD갤러리
SLD갤러리

김석영 | [말을 타고, 건너가소 21] 대서(大暑)

페이지 정보

작성자 SLD 작성일21-07-23 07:14 조회3,466회 댓글0건

본문

2021년 신축년

김석영 작가 바라밀다전

말을 타고, 건너가소 21번째 대서(大暑)

eba0d3b69d1297abef6d70700d398a12_1626990878_06.jpg

5c800bed431610b1bf8e9b4e0f303a7c_1626992406_17.jpg


김석영

Oil On Cavas

100호


7월 22일은 일년 중 가장 더운 때 맞이하는 절기인 대서이다. 중복이 7월 21일이니, 중복에 이어 대서로 무더위가 이어지는 시기이다. 중복은 통상 가장 더운 절기인 대서 시기에 있다. 중복은 초복, 중복, 말복 삼복 중의 한 날이다.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다. 우리가 말하는 '복날'의 복(伏)자는 '엎드릴 복', '굴복할 복' 이다. 너무 더워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낸다는 의미다. 즉 더위에 세번 굴복한다고 해서 삼복으로 불린다.

 

삼복은 보통 10일 간격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말복은 때에 따라 20일 만에 오기도 합니다. 말복은 입추 뒤에 오기 때문에 하지와 입추 사이 간격이 긴해가 20일이 된다. 말복이 그 달의 달을 넘기지 않고 들어 있으면 매복이라고 하고 달을 넘기고 말복이 오면 월복이라 한다.


* 초복, 중복, 말복 계산하는 방법

① (초복) 삼복 가운데 첫번째로 드는 복날로 하지로 부터 세번째 경일이다.

② (중복) 삼복 가운데 중간에 드는 복날로 하지로 부터 네번째 경일이다.

③ (말복) 삼복 가운데 마지막에 드는 복날로 입추 후 첫번째 경일을 말한다

여기서 경일이란 천간에 해당하는 날을 말한다. 12간지와 어우려저 60갑자를 형성한다.

이 중 천간에 해당하는 경자가 들어가는 날이 경일이다.

 

[천간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대서는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에 든다. 대서(大暑)는 음력으로 6월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7월 23일 무렵에 든다. 태양의 황경이 대략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여름의 토용(土用)은 이 계절에 들어간다. 토용이란 토왕용사(土王用事)의 준말로 토왕지절(土旺之節)의 첫날을 말한다. 토왕지절은 오행설(五行說)에서 토기(土氣)가 왕성하다는 절기이다. 사계절은 사립(四立, 입춘·입하·입추·입동)에서 시작하므로 사립 전의 18일간이 토에 배당되는데, 토왕용사에 태양은 각각 황도 위의 황경 27도, 117도, 207도, 297도의 위치에 온다. 오행설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태양의 황경에 기준을 둔 것이므로 계절의 변화와 일치한다. 특히 겨울의 토왕용사는 혹한(酷寒)의 시기이고, 여름의 토왕용사는 혹서(酷暑)의 시기이다. 이것을 각각 겨울의 토용, 여름의 토용이라고도 한다. 토왕용사에 흙일을 하면 해롭다는 속신(俗信)이 전해지기도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 입기일(入氣日)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을 보면 대서는 6월 중기로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 차후(次候)에는 흙에 습기가 많으며 무덥고, 말후(末候)에는 큰 비가 때때로 온다고 하였다.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으므로,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山亭)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한다. 불볕더위, 찜통더위도 이때 겪게 된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다.


이 무렵이 되면 농촌에서는 논밭의 김매기, 논밭두렁의 잡초베기, 퇴비장만 같은 농작물 관리에 쉴 틈이 없다. 또한 참외, 수박, 채소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있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고, 가물면 과일 맛이 난다.

 


[이 게시물은 SLD님에 의해 2022-02-28 11:12:17 행복갤러리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LD행복연구소 & 행복사다리
대표자 : 정영진 | 사업자등록번호 : 491-21-00894 / 144-82-67646 | Tel : 02-6084-1752
fax : 02-6084-1751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207(상완빌딩) 503호 | 입금계좌 : 국민은행 490701-01-184905
E-mail : afvision@naver.com
Copyright@에스엘디행복연구소. 2020.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